osul_world 2021. 12. 29. 20:26
728x90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많은 부분을 기여 한다.

무조건 적인 디자인 패턴의 적용은 오히려 복잡성을 증가시킬수있다.

 

디자인 패턴은 생성,행위,구조로 나뉜다.

image

생성(Creational) 패턴

객체 생성에 관련된 패턴

객체의 생성과 조합을 캡슐화해 특정 객체가 생성되거나 변경되어도 프로그램 구조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도록 유연성을 제공한다.

구조(Structural) 패턴

클래스나 객체를 조합해 더 큰 구조를 만드는 패턴

아키텍쳐 패턴이라고도 부른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지닌 2개의 객체를 묶어 단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객체들을 서로 묶어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패턴이다.

행위(Behavioral) 패턴

객체나 클래스 사이의 알고리즘이나 책임 분배에 관련된 패턴

한 객체가 혼자 수행할 수 없는 작업을 여러 개의 객체로 어떻게 분배하는지, 또 그렇게 하면서도 객체 사이의 결합도를 최소화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기타

리펙토링

동작을 유지하면서 코드를 개선하는 과정

리펙토링을 공부하면 에초에 리펙토링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도록 코드를 짤수있다.

클린코드

말 그대로 클린한 코드

변수이름,코드의 구조, 등을 다시 보아도 빠르게 이해가 되도록 짜는 것을 일컫는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