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 일지/정보처리기사

정보 처리 기사 필기 및 실기 총 7일만에 끝낸 공부법!

by osul_world 2022. 12. 4.
728x90

정보 처리 기사를 왜 취득 했는가?

제가 정보 처리 기사를 취득한 목적은 관련 전공자로써 자격증을 얼마나 빨리 취득할 수 있는지 도전해보는 목적이였습니다

 

실제로 저는 하루 2시간만 공부하며 필기 3일, 실기 4일만 소요했는데, 이론을 제 언어로 재구성하는 정리시간이 각 2일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글에서 제가 정리한 내용을 공유할테니 여러분은 정리시간을 더 단축하실 수 있습니다!

 

*책은 개인적으로 시나공이 가장 좋다고 생각됩니다

 

정보 처리 기사 준비 전략

정보 처리 기사는 하나 하나 공부하기엔 준비해야하는 양이 무시무시 합니다

 

또한, 제가 보기엔 불필요한 지식들도 많습니다 (물론 알아야하는 좋은 내용이 많습니다!)

 

세상의 불필요한 지식은 없지만, 전 짧은 시간에 취득하는게 목표이니 우선, "덜 중요한 지식은 철저하게 배제한다" 라는 전략을 세웠습니다

 

물론 시험 끝나고 한번씩은 가볍게 읽어보았습니다

 

덜 중요한 지식은 무엇인가?

아시겠지만, 시험에 출제 비중이 낮은 챕터의 내용입니다, 우선 정보처리 기사는 2020부터 개정이 되었으니 2020이후의 출제 경향을 분석했습니다

 

정보 처리 기사 문제 출제 해석을 검색해 보시면, 표로 정리된 출제 경향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분석을 할때 중요한 것은 세세한 분류입니다

1. 한번도 출제되지 않은 단원은 엑스

2. 한번 이라도 출제되지 않은 단원은 세모

3. 매년 나온 단원은 동그라미

 

엑스는 완전 배제할 단원이며, 세모는 기출 관련 이론만 가볍게, 동그라미는 깊게  공부할 계획을 세우면 됩니다

 

단! 여기서 동그라미를 깊게 공부할때 모든 것을 익히는 것이 아닙니다, 이 내용은 아래 부분에서 다루겠습니다

 

어떤 개념을 익혀야 할까?

이 전략을 세우기 위해선, 먼저 정보 처리 기사 시험적 환경을 고려해야합니다 (필기는 객관식이니 뭐 가볍게 준비하면 되고..문제는 실기 입니다)

 

바로 체점관이 체점하기 힘든 즉, 채점시 실수가 유발될 수 있는 개념은 무엇일까? 고민하며 출제되지 않을 확률이 높은 개념들을 배제하면 됩니다

 

예를 들자면, 코딩 문제 풀 구현은 사람마다 천차만별일테니 나오지 않겠죠 (주의, SQL은 다양한 답이 나오지 않는 주제로 풀 구현이 나옵니다)

 

그럼 코딩 문제는 값을 예측하거나 필요한 키워드를 찾는 문제가 나올 것입니다 (값 예측이 가장 유력해 보입니다)

 

이런식으로 동그라미 챕터에 속한 개념을 볼때 이건 어떤식으로 문제가 나올 수 있을지 예측해보고 안나올것 같다면 배제합니다

 

참고로, 실기는 주관식을 가장한 객관식으로 전락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기출을 봐보면 바로 이해하실 겁니다)

 

 

공부 전에 자기만의 언어로 재구성 해보세요!

*공부할 내용들을 추렸으니 이제는 지식으로 만들어야 겠지요!!

 

저는 정리를 할때 제 언어로 재구성 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했었습니다

 

추린 내용들을 쭉 읽으며 제가 편한 표현으로 바꾸는 것이죠

 

 

정보 처리 기사 필기 공부법

필기는 이분 영상에 안내되는 내용을 그대로 따르시면 됩니다 아주 좋은 꿀팁이니까요!

 

다만, 저와 의견이 다른 부분은, 실기를 고려하신다면 시나공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최근 개편이 안정화 되면서 좀더 깊은 수준이 나오기도 하는데, 시나공 + 구글링이 이런 것을 대비하기 적합하더라구요

https://www.youtube.com/watch?v=420RItu83xo 

영상

정보 처리 기사 실기 공부법

아래 링크는 제가 정리한 내용입니다, 공부하기로 분류한 내용을 책을 통해 한번 훑고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더 좋습니다

 

축약된 정보를 정리한 것이니 개념간 연동성을 책을 통해 익혀야 이해가 빠릅니다

 

실제로 실기때 이것만 정리한 후 전날 읽어보고 합격했습니다 (거의 여기서 나왔습니다)

 

아! 정보 처리 기사는 1,2문제는 아예 예측도 못하는 문제가 나오는데, 이건 그냥 운에 맡기고 그 시간에 제일 비중이 큰 프로그래밍과 SQL공부하는게 효과적이었습니다

 

*제가 추렸던 주요 챕터의 주요 내용 그리고 프로그래밍과 SQL도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주요 내용 이외에도 제가 이건 전공자로써 알아둬야겠다 싶은 내용은 추가로 적어놓았으니 필요없으신 분들은 그 부분을 넘어가시면 됩니다

*나중에 보완해서 블로그 자체에 올리도록 할께요 요즘 바빠서ㅠㅠ

 

https://citrine-sing-062.notion.site/CS-2548a7b2ac804482ac3d1983e818f842

 

CS 기초 총정리

프레임워크와 서비스 그리고 개발에 기본이 되는 디자인 패턴과 아키텍쳐를 알아봅시다.

citrine-sing-062.notion.site

 

전 전공자라 아는 내용들이 꽤 있어서 7일만에 성공했지만, 사람마다 주력 분야가 다르니 당연 편차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 글에서 전하고자 했던 것은 공부 메뉴얼이라기 보단 전략이었습니다 (제가 감히 교육자료를 만들순 없으니 ㅠㅠ)

 

뭐든 전략이 중요한 것이니 각자만의 전략을 수립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결과 기도합니다! 파이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