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API2 restAPI 정확하게 설계하기(feat.그런 REST API로 괜찮은가) restAPI 정확하게 설계하기(feat.그런 REST API로 괜찮은가) 개요 사이트 프로젝트로 restAPI를 개발하면서 restAPI란 무엇인가에 대해 공부하다가 "그런 REST API로 괜찮은가" 라는 영상을 보게 되었다. 이 영상을 통해 내 restAPI도 REST를 만족하지 못하고있었구나 하고 깨닫게 되어 restAPI 정확하게 설계하기위해 위 영상을 정리하고자한다. REST API REST API → REST 아키텍처를 따르는 API REST →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ex. 웹)을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 아키텍처 스타일 → 제약 조건의 집합 즉, REST에서 정의한 제약 조건을 모두 지켜야 REST를 따른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REST는 아키텍처 스타일이면서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2022. 2. 18. [RestAPI] REST API [RestAPI] REST API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서버의 확장 및 스케일아웃을 하거나 여러 서버를 두고 서버간 통신을 통해 로직을 수행한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나는 머신러닝 클러스터링을 담당할 서버와 WAS를 분리해서 관리하고자한다. 또는 기존 웹 서비스를 다양한 플랫폼에서도 동작하도록 멀티 플랫폼으로 확장한다. 즉, 여러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아야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사용자라기 보단 요청을 보내는 쪽이다. ex) 프론트서버,브라우저,백엔드 서버 서버간 통신에서만 통용되는것은 아니고 모든 기기간 통신에 적용될수있다. 서로 다른 서버들은 서버를 구성하는 언어도 기능도 다를것이다. 요청자는 각각의 서버를 잘 모르더라도 어떤 공통의 규칙이 존재하고 이 규칙을 이해한다.. 2022. 1.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