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패쳐 서블릿2 [스프링 핵심 정복] 스프링으로 서블릿(Servlet)을 다룬다는 것 스프링으로 서블릿(Servlet)을 다룬다는 것 [10분 테코톡] 🐶 코기의 Servlet vs Spring - YouTube 글을 시작하기 앞서 해당 영상을 꼭 들어보자. 개요 서버는 다양한 Http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외에도 네트워크 연결 등 많은 규칙과 처리해야하는 로직들이 존재한다. 서버가 처리해야하는 업무 #network • 서버 TCP/IP 연결 대기, 소켓 연결 ↓ #Request Http • HTTP 요청 메시지를 파싱해서 읽기 • POST 방식, /save URL 인지 • Content-Type 확인 • HTTP 메시지 바디 내용 피싱 • 메시지 바디에 담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파싱 ↓ #비즈니스 로직 수행 • 저장 프로세스 실행 • 비즈니스 로직 실행.. 2022. 1. 1. 스프링 MVC 구조 스프링 MVC 학습에 앞서 스프링 MVC 동작 구조를 먼저 살펴보고자한다. 스프링의 웹 기술은 MVC 아키텍쳐를 기본으로 한다. MVC의 핵심은 스프링의 Dispatcher Servlet이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제일 앞에서 전담하여 처리해주며, Front Controller라고도 불린다. 기존엔 개발자가 DispatcherServlet의 모든 처리를 하나하나 설계해야 했지만 이제는 개발 핵심 로직에만 집중하면 된다. DispatcherServlet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핸들링해주고 공통 작업을 처리면서 상당히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동작 순서 핸들러 조회: 핸들러 매핑을 통해 요청 URL에 매핑된 핸들러(컨트롤러)를 조회한다. 핸들러 어댑터 조회: 핸들러를 실행할 수 .. 2021. 12.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