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일지/디자인패턴 & 아키텍쳐20 [번외] UML 이해하기 UML 이해하기 클래스 다이어그램 표현 접근제어자 리스트 + : public - : private # : protected 맴버변수 접근제어자 이름: 타입 = 기본값 ex) -title: String = "" 메서드 접근제어자 이름(파라미터 속성): 리턴값 ex_1) +setTitle(String) ex_2) +getTitle(): String 추상형 & 클래스간 관계 ''얘가 쟤를 ~ 한다'' 라고 이해할것 ex) 일반화(상속): SB가 B를 상속한다 2021. 12. 29. OOP 설계 원리 OOP 설계 원리 SOLID 가장 대표적인 OOP설계 원리로써 모든 패턴의 기반이다. 아래 5가지 원칙을 갖는다. SRP(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수정할 이유는 하나, 단일 책임만 OCP(OpenClosedPrinciple) 코드 수정 없이 확장이 가능해야 함 LSP(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상위 타입은 항상 하위 타입으로 교체가 가능해야 함 ISP(Inteface Segregation Principle) 필요 없는 것을 구현하도록 강요하지 않아야 함 DIP(DependencyInversion Principle) 의존관계역전(DIP):클래스는 구체적 클래스 대신에 상위 추상 타입이나 interface에 의존해야 함 또한 일방향이어야함 SOL.. 2021. 12. 29. OOP 개요 OOP 개요 [사전지식] [추상화]: 클래스간의 공통점을 찾아내어 구체화 되어있지 않은 공통의 조상을 만들어 다형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것 추상화 하는 공통의 조상은 인터페이스 혹은 추상 클래스로 만든다. 설계도로써 자손이 재정의하거나 사용해야하는 모든 맴버를 정의한다. [구체화]: 추상화된 공통의 조상을 상속하여 구체화 한 자식 class class 확장의 방법은 상속 및 포함관계가 있다. [다형성]: 공통의 부모 타입 인스턴스로 자손 타입을 참조할수있다. 단, 부모로 부터 상속된 맴버 혹은 Overriding된 맴버만 호출가능 자손 고유의 메서드는 참조 불가 공통조상의 맴버 외 의 자손 고유의 맴버설계는 설계가 잘못된 경우가 많다. [추상클래스 vs 인터페이스]: 자바에서 인터페이스는 다중구현이 가능하.. 2021. 12. 29. 디자인 패턴이란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많은 부분을 기여 한다. 무조건 적인 디자인 패턴의 적용은 오히려 복잡성을 증가시킬수있다. 디자인 패턴은 생성,행위,구조로 나뉜다. 생성(Creational) 패턴 객체 생성에 관련된 패턴 객체의 생성과 조합을 캡슐화해 특정 객체가 생성되거나 변경되어도 프로그램 구조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도록 유연성을 제공한다. 구조(Structural) 패턴 클래스나 객체를 조합해 더 큰 구조를 만드는 패턴 아키텍쳐 패턴이라고도 부른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지닌 2개의 객체를 묶어 단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객체들을 서로 묶어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패턴이다. 행위(Behavioral) 패턴 객체나 클래스 사이의 알고리즘이나 책임 분배에 관련된 패턴 한.. 2021. 12. 29.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