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준비/개발 공부14 Polling보다 WebSocket이 무조건 좋은가? 알림 리스트에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었을때 알림을 표시하는 기능을 만들어야한다. 폴링 기법과 웹 소켓중에 선택해서 만들어야하는데, 내 프로젝트엔 폴링기법이 적합한 선택일것이다. 먼저, 내 프로젝트 목적상 실시간 통신은 계륵과도 같다. 알림이 많은 환경도 아니고 실시간이 요구될 정도로 비지한 서비스가 아니다. 두가지 구현으로 가닥을 잡았다. 웹 소켓과 트리거를 병행해서 DB갱신시 알림을 양방향 통신으로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내려주면 된다. 폴링 기법으로 1~5분 사이마다 데이터 갱신 여부를 확인받고 갱신해준다. 왜 웹소켓이 아니라 폴링을 선택했나 (페이스북도 폴링을 사용?!) 실시간 서비스가 필요없는 지금 프로젝트 한정해서 폴링이 더 효율적일것 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페이스북도 친구 목록 온라인 상태 .. 2022. 2. 12. 예외처리의 기본 예외처리 시리즈를 다루다가 좀 더 본질적인 부분에 내가 무심했다는것을 깨달았다. 에러, 에러의 종류 ,계층 구조 등등 이번 포스트는 그 기본을 다시 공부한것을 정리해두고자 한다. 프로그램 오류란? 프로그램이 실행 중 어떤 원인에 의해서 오작동을 하거나 비정상 종료되는 경우를 초래하는 원인을 프로그램 에러 또는 오류라고한다. 이 오류는 3가지 종류로 크게 구분할수있다. 컴파일 에러 - 컴파일 시점에 발생하는 에러 런타임 에러 - 실행 시에 발생하는 에러 논리적 에러 - 실행은 되지만 잘못 작성된 로직으로 인해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는 것 예외란? 자바같은 컴파일 언어는 컴파일러가 컴퓨터가 알아들을수있도록 개발자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데, 이때, 컴파일 에러는 컴파일시에 컴파일러가 소스코드(.java) 에 .. 2022. 1. 25. 이전 1 2 3 4 다음